반응형 전체 글84 |계약기간 중도 퇴사 가능할까? 퇴사의 자유와 불이익 여부 정리 올해 2월부터 시작한 아르바이트를 11월까지만 하고 취업을 할려고 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12월31일이라고 썼었는데 그 전에 나가도 상관없는건가요? 그리고 10월에 퇴사통보 시후임알바생이 들어올때까지만 일해달라고 해도 저는 이미 취업 계획을 세웠으므로 부득이하게 일을 더 못해주는데후임이 안 들어와도 나가도 저에게 불이익은 없는거죠? 1. 계약기간 만료 전에 퇴사해도 괜찮은가요?네, 괜찮습니다.근로자에게는 헌법상 '직업 선택의 자유'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근로계약 관계를 해지할 자유, 즉 '퇴사의 자유'가 보장됩니다.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계약기간은 '해당 기간까지의 고용을 보장한다'는 의미가 강하며, 근로자가 그 기간 동안 반드시 근무해야만 하는 '강제 근로'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따라서 귀하께.. 2025. 8. 2. |초과근무수당 미지급, 법적 대응 방법 총정리 요양보호사 근무제 (퐁당당근무)하루근무하고 이틀쉬는근무를 하고있습니다. 휴게시간은 주간에1시간 야간에 6시간을두고있습니다.하루17시간을 근무하는 퐁당당근무제 매월10회정도근무하여 170시간을 근무하는걸로 되어있어요. 규칙적으로 근무하다보면 어느달은 11회를 근무할수도 있고 시간이 부족할때도 있습니다 부족한 시간은 대체근무를 해서 시간을 채워야된다고해서 추가근무를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남는것은 수당을 지급하지를 않고있습니다 너무불합리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1. 초과근무에 대한 수당 미지급은 명백한 법 위반입니다.귀하의 근로계약은 월 170시간의 근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정적인 임금을 받기로 한 것(포괄임금제 계약으로 보입니다)으로 이해됩니다. 이러한 계약 자체는 법적으로.. 2025. 8. 2. |DB형 퇴직연금 퇴직 시 부족분 받는 법: 중도인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2017년에 입사해서 현재까지 재직중인 직장에서 제가 입사한 후 1년정도 후에 퇴직연금을 가입하였습니다.당시 퇴직금 금액 전부를 입금하여 가입한게 아니라 일부만 입금해서 가입한걸로 알고있습니다.이번에 집을 새로 구해서 이사하려고하는데 퇴직금을 중간정산 받고싶어서 알아보는중인데질문1. 퇴직금 계산기로 계산해본결과, 당장 올해 퇴직을 한다고 가정했을때 약 2600만원정도되는데 현재 퇴직연금 계좌에는 600만원정도 입금되어있습니다. 나중에 퇴직한다고했을때 나머지 금액은 연금계좌로 입금이 되어서 처리되는건가요?질문2. 퇴직연금 중간정산을 받는다고 한다면, 현재 입금되어있는 금액만 중간정산이 가능한가요?질문 1. 퇴직 시 나머지 금액을 받을 수 있나요?네, 당연히 받으실 수 있습니다.법적 근거: 「근로.. 2025. 7. 30. |DC형 퇴직연금 계산법: 연간 임금 1/12 기준과 IRP 계좌 입금 시기 완전 정리 안녕하세요 퇴직금 관련해서 궁금합니다.23년 3월말에 입사해서 25년 6월30일까지 일하고 퇴사했는데 회사에서 지급한 퇴직금이 부족한것 같습니다. 월급은 250~258만원 사이입니다퇴직금은 DC형이고 24년6월에 255만 25년7월에 258만 총2번 입금되었는데3개월치 월급으로 계산해 봤더니 금액이 부족한것 같아요 개인 IRP 계좌로 지급될때에는 부족한금액 도같이 입금이되나요? 1. DC형 퇴직연금의 정확한 계산 방식DC형 퇴직연금은 사용자가 매년 1회 이상 근로자의 '연간 임금총액의 12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부담금)을 근로자의 퇴직연금 계좌에 납입하는 제도입니다. 최종적으로 받으시는 퇴직급여는 그동안 회사가 납입한 부담금 원금과 이를 운용하여 발생한 수익금을 합한 총액이 됩니다.관련 법령.. 2025. 7. 30. |2년 넘게 일했다면 무기계약직? 육아휴직 신청 자격과 한부모 혜택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1. 저는 현재 5인 이상의 근무지에서 3년째 일을 하고 있습니다. 계약직으로 입사해, 매년 계약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계약은 2월 말에 종료됩니다. (매년 3월~다음해2월까지 계약) 그럼 저는 만 2년이 된 시점에 무기계약직으로 변경이 된 걸까요?2. 무기계약직으로서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할까요? (만 8세 이하의 아이가 있습니다.)3. 종료 시점이 있는 계약서가 있는데(내년 2월), 또 다른 계약서 작성없이 내년 3월부터 그 다음해 2월까지 1년간의 육아휴직이 가능할 걸까요?4. 한부모의 경우, 6개월 연장이 더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전 미혼모로서 등본상 아이랑 저밖에 없는데, 6개월 연장이 가능할까요? (지원대상 한부모는 아닙니다.)5. 중간에 사업장 대표가 한 번 바뀌었는데(1년.. 2025. 7. 30. |퇴직금 평균임금 기준, 말일 퇴사해도 손해 없을까? 퇴직일별 차이 완벽 정리 월급날이 5일인데 다음달 말일까지만 일하고 퇴사하기로 했습니다.이렇게 되면 한달 만근이 아니라서 퇴직금받는데 적게 받게될까요?? 1. 퇴직금 산정의 기준: '평균임금'관련 법령: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제1항에 따르면, 퇴직금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으로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평균임금의 정의: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6호는 '평균임금'을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으로 정의합니다. 2. 평균임금 계산 방식과 귀하의 경우'평균임금'을 계산하는 기준 시점은 '사유가 발생한 날', 즉 '퇴직일'입니다. 월급날이 아닙니다.퇴직일을 다음 달 말일로 정한 경우:.. 2025. 7. 30.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 반응형